지난 포스팅에서는 단락스타일(Paragraph Style)을 활용해 문서 전체의 텍스트 서식을 일관성 있게 관리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단락 스타일은 제목, 본문 등 단락 전체의 서식을 통일하는 데 매우 강력한 기능이다.
하지만 단락 스타일만으로는 해결되지 않는 부분들이 여럿 있다. 예를 들어, 본문 단락 안에서 특정 단어만 굵게 강조하거나, 색상을 바꾸거나, 밑줄을 긋고 싶을때, 표 내의 텍스트 들을 동일한 문자 서식으로 바꾸고 싶을때는 어떻게 해야할까?
단락 스타일은 단락 전체에 적용되기 때문에 이런 부분적인 서식 변경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때 필요한 것이 바로 문자스타일(Character Style)이다. 이제 문자스타일까지 함께 사용하면 텍스트 서식 관리를 완벽하게 마스터할 수 있으니 아래 내용을 참고하자.
문자 스타일(Character Style)이란?
문자 스타일은 단락 안의 특정 문자(글자)에만 적용되는 서식을 하나로 묶어 저장해두는 기능이다. 단락스타일과 달리 들여쓰기, 단락 간격 등 단락에 관련된 서식은 없고 폰트 종류, 크기, 색상, 굵기, 기울임꼴, 밑줄, 자간, 장평 등 문자 자체에만 관련된 서식을 포함한다.
문자 스타일을 사용할 때 작업의 효율성
- 부분 서식의 일관성 유지: 문서 전체에서 특정 유형의 강조(예: 중요 단어 굵게, 링크 텍스트 파란색 등)를 통일성 있게 적용하고 관리할 수 있다.
- 작업 효율 증대: 특정 글자에 반복적으로 적용해야 하는 서식을 한 번만 만들어두면, 클릭 한 번으로 빠르게 적용하고 수정도 한 번에 관리가 가능하다.
- 단락 스타일과의 조화: 단락 스타일은 유지하면서 특정 부분만 강조하거나 변경할 수 있어서 문서의 구조와 디자인을 유연하게 관리할 수 있다.
문자 스타일, 특히 '표 디자인'에 강력 추천!
문자 스타일은 특히 표(Table) 디자인에서 그 진가를 발휘한다. 표 안에 들어가는 텍스트는 셀마다 서식이 다를 수 있고, 특정 셀의 내용만 강조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일일이 작업해야하는 노동을 요구하는 제일 큰 작업이다. 하지만 이 때 문자 스타일을 사용하면 작업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 번거로운 드래그 작업 해소: 표 안의 글자는 동일하게 문자 서식을 적용하고 싶어도 각 셀마다 선택이 되기때문에 일일이 마우스로 드래그 하여 문자 서식을 적용해야 한다. 문자 스타일을 미리 만들어 두면, 해당 텍스트나 동일하게 적용할 표 텍스트들을 셀 단위로 선택하여 클릭 한번으로 서식이 적용되어 작업이 빨라진다.
- 일관된 표 서식 유지: 표 제목, 항목, 강조 숫자 등 표 내에서 반복되는 특정 텍스트 서식을 문자 스타일로 정의 해 두면, 어떤 표에 적용하던 일관된 디자인을 유지할 수 있고 디자이너가 미리 메모해둘 필요가 없다. 또한 수정 시에도 같이 한 번에 업데이트 되기 때문에 수정 누락이 생길 수가 없다.
단계별 문자 스타일 설정 가이드
이제 인디자인에서 문자스타일을 만들고 문서에 적용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알아보자.
1단계 : 문자스타일 패널 열기
문자 스타일 작업을 시작하기 위해 문자 스타일 패널을 연다.
- 메뉴에서 [창(Window)] - [스타일(Styles)] - [문자 스타일(Character Styles)]을 선택한다.
- 화면에 문자 스타일 패널이 나타납니다. 기본적으로 '[없음]' 스타일이 있다.
2단계 : 새 문자 스타일 만들기
문서에 사용할 새로운 문자 스타일을 생성한다.
- 문자 스타일 패널 하단에 있는 [새 스타일 만들기(Create New Style)] 버튼(종이 접힌 모양 아이콘)을 클릭한다.
- 새로운 스타일이 '문자 스타일 1'과 같은 기본 이름으로 생성된다. 이 스타일 이름을 더블클릭한다.
- '문자 스타일 옵션' 창이 나타나면, '일반' 탭에서 스타일 이름을 알아보기 쉽게 변경한다. (예: '본문', '강조_굵게', '링크_파랑', '표_항목강조')
3단계 : 문자 서식 세부 설정
생성한 문자 스타일에 원하는 문자 서식을 세부적으로 설정한다.
- '문자 스타일 옵션' 창 왼쪽 목록에서 [기본 문자 서식(Basic Character Formats)]을 선택하여 폰트 종류, 크기, 굵기, 기울임꼴 등을 설정한다. 색상이나, 밑줄 등 왼쪽의 여러 옵션에서 추가하고 싶은 서식을 추가로 설정해도 된다.
- 모든 설정을 마쳤으면 [확인(OK)] 버튼을 클릭하여 스타일 정의를 저장한다.
4단계 : 문자 스타일 문서에 적용하기
만든 문자 스타일을 실제 문서의 특정 글자에 적용한다.
- 서식을 적용하고 싶은 '특정 문자(글자)'를 마우스로 드래그하여 선택한다.
- 문자 스타일 패널에서 방금 만든 스타일 이름을 클릭한다.
- 선택한 글자에만 설정한 서식이 적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문자 스타일 활용 추가 팁
- 스타일 정의 업데이트: 문자 스타일 정의를 변경하면 해당 스타일이 적용된 문서 전체의 텍스트 서식이 자동으로 업데이트 된다. 문자 스타일 패널에서 스타일 이름을 더블클릭하여 옵션 창을 열고 서식을 수정한 후 '확인'을 누르면 즉시 반영된다.
- 스타일 재정의 관리: 문자 스타일이 적용된 텍스트에 수동으로 서식을 변경하면 스타일 이름 옆에 '+' 표시가 나타난다. 이를 '재정의(Override)'라고 하는데, 재정의된 서식을 없애고 스타일 정의대로 되돌리고 싶으면 스타일 이름을 Alt(혹은 Option) 키를 누른 상태로 클릭하면 된다.
- 단락 스타일과 함께 사용: 문자 스타일은 단락 스타일이 적용된 텍스트 위에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문' 단락 스타일이 적용된 문장에서 특정 단어에 '강조' 문자 스타일을 적용하면, 해당 단어만 강조 서식이 적용되고 나머지 본문은 '본문'스타일을 유지한다.
문자 스타일로 텍스트 서식의 디테일을 완성!
단락 스타일이 큰 틀을 잡는다면, 문자스타일은 텍스트 서식의 디테일을 완성하는 데 필수적인 기능이다. 특히 표 디자인에서 텍스트 서식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데 문자 스타일이 얼마나 강력한 도구인지 확인했을 것이다.
이제 이러한 문자 스타일을 바탕으로 인디자인에서 '표(Table)' 기능을 활용하여 복잡한 표도 디자인적으로 잘 표현할 수 있는 방법과 효율적으로 만드는 방법에 대해 다뤄볼 예정이다. 표 기능은, 실무에서 제일 많이 활용되는 기능이며 여타 다른 일러스트레이터 등의 프로그램에선 단순 노동으로 제작한다고 하면, 인디자인에선 동일한 복잡한 디자인을 효율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방법들이 있으니 많은 기대 부탁한다.
인디자인, 마스터하는 날까지!
'Indesign : 인디자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디자인 꿀팁: '도련(Bleed)' 설정하는 가장 쉬운 방법 (인쇄 사고 방지 필수!) (1) | 2025.07.03 |
---|---|
인디자인 꿀팁: 인쇄용 PDF 내보내기 설정, 20년 경력이 알려주는 노하우!(재단선과 도련) (1) | 2025.06.27 |
인디자인 단락 스타일로 복잡한 문서 텍스트 서식 쉽게 통일 시키고 수정하기 (0) | 2025.06.21 |
인디자인 레이아웃 기초: 마스터 페이지로 전체 페이지 번호 자동으로 한 방에 해결! (0) | 2025.06.19 |